ARIA라는 이름은 Academy(학계), Research Institute(연구소), Agency(정부 기관)의 첫 글자들을 딴 것
국내에서는 주로 쓰이지만, 해외에서는 잘 안쓰는 암호
블록크기 : 128비트
키 크기 : 128/192/256비트 (AES와 동일 규격)
라운드 수 : 12/14/16 (키 크기에 따라 결정됨)
적용범위 : 이 규격은 가변 크기의 암호키를 사용하여 128bit 블록 단위로 데이터의 암호화, 복호화를 수행하는 블록 암호 알고리즘을 규정한다.
간단한 연산 사용으로 초경량 환경에 효율적
바이트 단위의 연산으로 하드웨어에 효율적
대치, 확산, 키 적용 단계를 반복하는 SPN 구조
S-box를 이용하여 바이트 단위로 치환
확산 단계에서는 16X16 Involution 이진 행렬을 사용한 바이트 간의 확산
라운드 함수는 라운드 키 XOR(exclusive OR)연산, 치환 계층(substitution layer), 확산 계층(diffusion layer)으로 구성이 되며 마지막 라운드는 확산 계층 대신 라운드키XOR 연산을 진행
- 치환 계층(Substitution Layer)
두 유형의 치환 계층이 있으며, 홀수와 짝수 라운드에 각기 다른 치환 계층을 사용
각각은 2종의 8비트 입출력 S-box와 그들의 역변환(reverse)로 구성
- 확산 계층(Diffusion Layer)
16 x 16 involution 이진 행렬을 사용한 바이트 간의 확산 함수로 구성
- 키 확장(Key Expansion, AddRoundKey)
출처: https://scienceon.kisti.re.kr/commons/util/originalView.do?cn=JAKO202015463052130&oCn=JAKO202015463052130&dbt=JAKO&journal=NJOU00303927
http://koreascience.or.kr/article/CFKO201623965830021.pdf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