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내용 수정
예탁금 세금 우대 혜택이 코로나19 덕분에(?) 2년 연장되었습니다!
글 맨 아래에 뉴스 첨부해놓았습니다.
신협, 산림조합, 새마을 금고 등등에서 최대 3천만원까지 이자 소득 세금 우대 혜택이 있는거 알고 계시나요..
산협에서 3천, 농협에서 3천 등등 이렇게 협동조합별로 3천까지 되는게 아니고 모든 협동조합 다 합해서 3천까지만 됩니다.
이자 소득은 이자소득세 14%, 농특세 1.4%로 총 15.4%를 내야 하는데요,
협동조합에 준조합원으로 가입한 경우, 예금 금액 3천만원까지 14%의 세금이 면제됩니다.
1.4%는 내야해요.
그래서 비과세 혜택이 아니고! 세금 우대 혜택!!
준 조합원은 출자금 5천~10만원 정도 내면 가입이 가능하고, 이 금액은 지점마다 다르니 가서 물어보세요.
저는 산림조합에 출자금 5천원내고 가입했어요.
그리고 준조합원 가입은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이나 일하고 있는 지역에서만! 직접 방문해야만! 가능해요.
그리고 출자금 통장도 1천만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어요.
출자금은 투자 개념이라 해당 지점이 얼마나 잘되는지에 따라 이자가 들어옵니다.
출자금은 출자금통장을 해지하면(회원탈퇴) 받을 수 있는데, 배당이 끝나야 가능해서 기간이 좀 걸린다고 합니다.
근데 이 중 예탁금 세금 우대 혜택이 올해부터 종료된대요.
벌써 20년 넘게 폐지를 미뤄온 정책이라서 이번엔 정말 종료될거란 말이 있어요.
한 번에 폐지는 아니고 단계적으로 퍼센트를 낮추면서 서서히 폐지가 됩니다.
1년 단위로 0%->5.5%->9%->14% 이렇게 된대요
연말까지 간 보시다가 폐지된다는 말이 확정되면 3년짜리 가입하시면 되겠습니다 ㅎㅎ
2020년 8월 수정
올해 2년짜리 가입해놓고 2022년 만기되는 해에 3년짜리 가입하는 게 최상의 시나리오 입니다 ㅎㅎㅎ
올해 2년짜리를 가입하고 이게 만기 해지가 되는 날(해당년도 이자소득세 9%) 3년짜리로 재가입해도 괜찮을지는 아래에서 보여드릴게요.
제가 사는 동네 신협의 금리는 3년 복리로 1.7%에요
1금융권인 케이뱅크의 예금 최고 금리는 3년에 1.6%에요.
협동조합의 금리가 아주 조금 더 높은 편입니다.
저축은행 중 하나인 웰컴저축은행의 예금 금리는 3년에 1.8%입니다.
실제로 받게 되는 세후 이자를 따져볼게요.
금리가 같고 복리라는 가정하에..
3천만원을 시중 은행과 협동 조합에 예금할 경우 22만원 정도 차이가 발생해요.
금리가 더 높은 저축은행 금리로 계산해봐도, 세금우대 혜택 따져보면 협동조합이 14만원 더 받을 수 있습니다 ㅎㅎ
정말 적은 금액이긴 해도, 어쨌거나 안정적으로 모으는 자산도 있어야 하잖아요.
어차피 안정 자산 모으는 거 겸사겸사 더 버는거죠 머ㅎㅎ
저는 올해 말까지 기준 금리가 오를지 지켜보다가 가입하려구요.
위에 올렸던 금리를 기준으로 여러가지 계산을 좀 해볼게요.
1. 시중 은행에서 5년 예금할때
이자 소득세 총합 15.4%내서 세후 이자가 2,112,361원입니다.
2. 협동조합에서 2년+3년 가입할때
앞서서 세금 퍼센트가 순차적으로 높아진다고 했잖아요?
가장 긴 기간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합이 2년(이자 소득세 0%)+만기 후 3천 3년 재예치(이자 소득세 9%)입니다.
먼저 2년 예금을 들어서 세금 우대 혜택 받고 1.4%만 내면 96만원 정도 이자를 받고요
22년에는 이자 소득세를 9%내야 하고, 3년으로 들었다고 가정하면..
정확한 세금 비율은 아닌데 대략 140만원정도 받네요.
그럼 5년어치의 이자는 총 236만원.
시중 은행에서 5년 들었을때보다 25만원 정도 더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3. 저축은행에서 5년 가입했을때
15.4%세금을 다 내도!! 협동조합 2년+3년 보다 이자 소득이 큽니다.
정리하면 중간에 전세자금같이 큰 돈 쓸일이 있을것도 같은데 없을것도 같다 -> 협동조합
이 돈 만큼은 절대 절대 깰일이 없다 -> 저축은행
요즘 금리 너무 낮아서 예금 길게 들기 싫다 -> 협동조합
하시면 되겠습니다.
2020년 8월 수정
4. 세금 우대 혜택으로 협동조합 2년 + 3년 가입일때
3천만원까지만 세금 우대가 되기때문에, 5년 복리는 아닙니다.
(1) 2년 예금
3천만원의 이자가 약 96만원정도 나옵니다.
(2) 3년
3천만원까지만 세금 우대가 되기 때문에, 2년 예금 그대로 재예치가 아니라 딱 3천만원만 재예치할거에요.
3년 이자가 약 155만원정도 나오네요.
(3) 총 금액 3천만원 + 이자 약 251만원
역시나 협동조합이 제일 많은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ㅎㅎ
좀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뉴스 첨부합니다
https://m.nongmin.com/news/NEWS/POL/GOV/324934/view
지역 농·축협 등 예탁금 이자소득 2022년까지 비과세
<div aria-label= 이미지 위젯 contenteditable=false role=region tabindex=-1> [2020년 세법 개정안] 농업분야 주요 내용 ‘코로나19’ 사태 장기화 고려 조세 감면 항목 9건 2년 연장 농업계 “최소 5년씩 늘려야”
www.nongmin.com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aka 중기청)1 - 준비 (0) | 2021.01.24 |
---|---|
사기업 다니면서 공무원준비할지 계산해보기 (0) | 2020.08.15 |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혜택2 - 경기청년 복지 포인트 - 조건 & 후기 (0) | 2020.07.29 |
경기도 중소기업 청년 혜택1 - 경기청년 마이스터 통장 - 조건 & 후기 (0) | 2020.07.22 |
통신요금 아끼기 - LG헬로 모바일 알뜰폰 요금제 장단점 (0) | 2020.06.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