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소기업취업청년 전월세보증금대출 (aka 중기청)1 - 준비

후기

by 기동3 2021. 1. 24. 23:56

본문

중기청 대출 정책이 2021년 12월 31일까지라고 합니다.

생에 딱 1번만 사용할 수 있고, 이직을 생각 중인데 지금 해도 괜찮을 것인가..

하지만 2020년 연말정산을 하고 나면 조건 탈락할 것 같아서 고민을 해봤져..

차로 출퇴근하는 비용과 대출 이자를 포함한 생활비 중 어느 것이 낫나..

 

1. 고민하기

1) 자차 출퇴근 비용 (1년 기준)

차량 보험금 100만원

운전자 보험 27만원

톨게이트비 100만원

주유비 150만원

그 외 엔진오일이나 워셔액 등등등

합계 대략 4백만원!!

 

2) 중기청 전세 (1년 기준)

1억 대출 이자 120만원

관리비 + 전기세, 인터넷 등등 180만원

대략 300만원!

가구도 새로 사야하고 부동산 관련된 비용도 들기 때문에 비용은 더 클 수 있어요.

하지만! 경기 청년 마이스터 통장 덕에 생활비는 거의 안 들어갈거라고 생각했어요.

(경기청년 마이스터 통장: moneywelcome.tistory.com/31)

부모님이랑 살때에는 그 돈 그대로 부모님 생활비 드려서 제 돈이 아니었습니다..

 

3) 결론

왕복 출퇴근 시간 2시간을 이직 준비하는 데에 쓰자!

차를 부모님께 반납하고 독립을 하자!!

 

 

2. 중소기업 취업 청년 전세 보증 대출

고정 금리 연 1.2%로 최대 1억까지 대출이 가능합니다.

완전 좋죠

이런 대출은 조건만 된다면 무조건 받아야 해요.

최대 4회까지 연장이 가능해서 총 10년을 사용할 수 있어요.

 

중기청 전세 대출은 보증 종류별로 2가지입니다.

1) 전세자금보증(HF) aka 중기청 80%

2) 전세금안심보증대출(HUG) aka 중기청 100%

 

최대 1억까지 대출이 가능한데, 개인 신용도에 따라 1억이 나오지 않을수도 있거든요.

그럴 경우 2) 100%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80%로 진행했기 때문에 100%에 대해서는 잘 모릅니다..

 

 

3. 중기청 대출 조건 알아보기

1) 부부합산 연소득 5천만원 이하 (외벌이 3천5백만원 이하)

결혼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득 기준은 3500만원
그리고 아직 2020년 연말정산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2019년의 소득을 보게 됩니다.

여기서 소득 3500만원은 수당, 성과금, 상여금 전~~부 다 포함한 금액입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에서 소득 합계 부분 보시면 됩니다.

전세 대출을 살면서 소득이 올라도 상관없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확실하지 않습니다.
후에 대출 연장도 가능합니다.

다만, 연장 시점에도 (1) 중소기업을 다녀야 하고 (3) 무주택 세대주에

(3) 연 이율 0.1%p 올라가거나 1천만원을 상환해야 한다고 안내 받았습니다.

뭔 의미인지 잘 모르겠는데, 대충 이자를 더 내야 한대요.

연장에 대한 건.. 그때 닥치면 찾아볼래요..

 

2) 순자산가액 2.92억원 이하 무주택 세대주 (예비세대주 포함)

저는 작년 10월쯤 무주택자가 되었는데, 이 때문에 혹시 무주택 기간이 필요한가 의문이 들었어요.

하지만 다행히도 무주택 기간은 안 보더라고요.

대출 진행 이후로만 쭉 무주택이면 됩니다.

전세를 계약하면서 전입신고를 하면 세대주가 되기 때문에 대출 진행하는 본인만 무주택자면 됩니다.

 

3) 중소·중견기업 재직자 또는 중소기업진흥공단, 신용보증기금 및 기술보증기금의 청년창업 지원을 받고 있는 자
만 19세 이상 ∼ 만 34세 이하 청년 (병역의무를 이행한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자격기간을 연장하되 최대 만 39세까지 연장)

회사 규모가 작아보여도 해당이 안되거나 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 듯 하더라구요.

그리고 프리랜서도 되는 듯 보입니다. <- 이건 은행 상담이 제일 빠를 듯 해요.

사내에 받은 사람이 1명이라도 있는지 확인해보는 편이 가장 좋고, 아니면 경지팀에 물어보는 편이 좋을 듯 합니다.

 

 

4. 순서 (중기청 80%로 진행)

1) 대출 조건 되는지 확인하기

2) 서류 준비 

3) 매물 가계약

4) 전세 계약, 확정일자 받기

4) 은행 방문 or 기금e든든 으로 대출 심사

5) 대출 가능 여부가 나오면 서류 제출하거나, 안내 받으러 은행 방문

6) 잔금 치르는 날, 전입신고 하기.

7) 추가 서류 은행에 방문 or 팩스 제출

8) 독립 끝!!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